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레지스트리 편집기

♡뱅크스토리 입니다.♡

 

레지스트리를 바꾸면 윈도우가 달라 보입니다.
# 주의 : 레지스트리를 편집할 때에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레지스트리는 잘못 만지면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C:\WINDOWS 라는 디렉토리에 regedit.exe 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는데. 시작 버튼을 누른 후 '실행'을 선택하여 이 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하면 화면상에는 여러 가지 이름 모를 문자들이 디렉토리 구조로 표현되어 있을 것이다. 각각의 항목마다 모두 존재하는 이유가 있지만 우리가 목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절대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 새로운 키(대상)를 추가하고자 할 때는 원하는 부분을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등록'을 선택한 후, '키'라고 되어 있는 것을 선택한 다음, 키의 이름을 입력해 주면 새로운 키가 생성된다. 키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모든 작업이 끝난 것은 아니고 여기에 각각의 값을 넣어주어야 한다. 값을 넣어줄 키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보자. 그러면 여기서 방금 전에 키를 만들 때와 같은 메뉴가 나올 것이다. 여기서 문자열 값, 이진 값, DWORD 값 등 원하는 값의 종류를 선택하고 새 값을 넣으면 값이 등록된다. 만일 이미 존재하는 값을 변경하고자 할 때는 변경하고자 하는 값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더블클릭하면 값을 변경해 줄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다시 한번 주의 사항 

레지스트리 편집이라는 것이 중급 이상의 사용자라도 상당히 조심스러운 작업이라 상당한 위험이 따릅니다. 그러나 윈도우즈를 재미있고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레지스트리 편집 작업이 뒤따라야 하는 것 또한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안전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미리 백업 해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서 꼭 해 두는게 좋습니다....... 

 

* 레지스터 레지스트리 백업 및 복구 방법


레지스트리 백업


<시작>→<실행>을 클릭(선택)하여 regedit 를 입력한다음 확인을 누릅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뜨면 레지스트리를 선택(모든 레지스트리를 다 백업하려면 왼쪽 트리구조에서 '내컴퓨터'를 선택하시면 자동으로 <내보내기 창>의 아래쪽 내보내기 범위의 [모두]가 표시(녹색으로 표시)되면서  모든 트리구조가 백업되고 특정한 트리구조만 선택하시면 자동으로 내보내기 창의 아래쪽에 [선택한 분기]에 표시(녹색으로 표시)되면서 선택한 분기만 백업이 됩니다.) 하신후 위의 메뉴에서 [파일]→[내보내기]를 클릭하시고 [레지스트리 파일 내보내기] 창이 뜨면 저장할 폴더를 지정한 다음 파일명은 날자를 입력하시고 (예) 2014년 5월 9일이면 140509) [저장]을 클릭합니다. 레지스트리 정보가 reg파일의 형태로 저장이 됩니다.

내보내기를 하실 때에 저장되는 경로를 잘 기억을 해 두세요.(잊어버리지 않기 위해서는 c: 드라이버에 backup 폴더로 하는것이 좋겠죠)


 


레지스트리 복구


<시작>→<실행>을 클릭(선택)하여 regedit 를 입력한다음 확인을 누릅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뜨면 위의 메뉴에서 [파일]→[가져오기]를 클릭하시고 저장해 놓은 폴더와 파일을 선택한다음 열기를 클릭하시면 복구 됩니다.

또한 레지스트리를 백업해놓은 폴더로 이동후 저장 한 reg파일을 더블클릭하시면... 레지스트리 정보를 기록(복구, 병합)할꺼냐고 질문을 할 겁니다. 그때 '예'를 선택하면 되지요~ ^^

레지스트리 복구후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1. 시작 메뉴 속도 높이기 

[시작]을 눌렀을 때 메뉴가 나타나는 속도(프로그램을 눌렀을때.)를 빨리 해준다.  

HKEY_CURRENT_USER⇒Contral Panel⇒Desktop으로 이동한다. MenuShowDelay 키가 없다면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록-문자열 값’을 누른 다음 ‘MenuShowDelay’ 키를 새로 만든다. 만들어진 문자열 값을 더블클릭하여 ‘값의 데이터’에  값을 ‘0’ 으로 하면 매우 빨라진다. 이미 존재한다면 그냥 새 값을 입력한다.



           

2. 자동 메뉴 확장 기능 제거 

시작 버튼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하위 메뉴가 나온다. 이것을 자동 메뉴 확장 기능이라고 하는데, 때로는 이 기능이 불편할 때가 있는데 이 기능을 없앨 수 도 있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 으로 이동한다. 우측 화면에 MenuShowDelay 라고 하는 키를 등록한 후, 여기에 ‘65534’ 라는 값을 넣어 준다. 이제 윈도우즈를 재시작 하면 마우스로 클릭하기 전까지는 하위 메뉴들이 저절로 나오는 일은 없을 것이다.  

 

3. 바탕화면 단축 아이콘 왼쪽 밑에 있는 화살표 없애기 

컴퓨터를 조금 알게 되면 화살표 붙은 것은 단축아이콘이라는 것을 누구나 안다. 단축 아이콘 밑에 나오는 화살표는 별 필요도 없는데 화면만 지저분하게 한다. 윈도우를 좀더 깔끔하게 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이 방법을 쓰는 것도 좋을 듯 하다. 

HKEY_LOCAL_MACSHIN⇒lnkfile로 이동한다. 또는 ‘편집-찾기’에서 찾을 문자열에 ‘IsShortCut’이라고 입력한다. 화면의 우측에 나타나는 내용 중에 IsShortCut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것을 삭제한다. 혹시 다음에 다시 보고 싶다면 삭제하지 말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 이름만 바꾸어 주어도 (IsShort라고 몇 자만 지워도) 된다. 재부팅을 하면 깨끗한 단축아이콘이 보일 것이다.

윈도우 7에서 고전 방법으로 바로가기 화살표를 제거하기 위해 IsShortcut 레지스트리를 삭제하는 경우 핀 고정기능이 마비되는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우클릭 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세요.


화살표관리.cmd



4. 아이콘에 256컬러 이상의 컬러 입히기 

플러스 팩을 설치하면 바탕화면 테마와 함께 256컬러 이상의 아이콘을 보여준다. 그러나 굳이 플러스를 설치하지 않고도 256 이상의 아이콘을 볼 수 있다. 단, 현재의 해상도에서 16비트 컬러나 24비트 컬러가 가능해야한다. 플러스가 설치되어 있다면 만질 필요는 없다. 

HKEY_CURRENT_U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 으로 이동한다. ‘Shell Icon BPP’란 문자열값을 추가한 후(방법은 1번과 같다.)데이타 값을 16 또는 24로 값을 주면 256 컬러 이상의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16‘이라는 숫자는 16비트 색상을 의미한다. 

             

5. 바탕화면 아이콘 크기변경 

바탕화면의 아이콘 크기변경은 ‘디스플레이 등록정보-화면배색-항목-아이콘’에서도 조절해 줄 수 있다. 왜 힘들게 레지스트리까지 오냐고 묻는다면, 필자도 답변이 없다. 하지만 레지스트리에서도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고 해서 나쁠 건 없다고 본다. 

HKEY_CURRNET_User⇒Contorl Panel⇒desktop⇒windowsmetrics으로 이동해서 ‘shell icon size'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수정‘을 선택한 후 64정도로 늘려보자. 윈도우를 재부팅 하면 바뀐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단, 아이콘이 너무 크면 윈도우의 속도가 느려진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6. '프로그램 추가/삭제' 목록에서 지워지지 않는 항목 제거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설치돼 있는 상태에서 언 인스톨을 하면 목록에서 지워진다. 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거하였거나 혹은 프로그램은 삭제되었더라도 목록에는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런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 편집방법이 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이라는 항목으로 이동하면 현재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의 이름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거하고 싶은 목록을 삭제한다.


  

             

7. 윈도우즈 사용자 등록정보 변경하기. 

윈도우를 직접 설치하지 않았다면 시스템 등록정보에 자기의 이름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되어 있을 것이다. 이 설정은 다른 응용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끼칠 수 도 있는데 이 정보(사용자, 회사)를 변경하여 보자.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으로 이동하면 우측 화면에 윈도우등록번호와 사용자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가 출력된다. 여기서 값의 데이터를 바꾸어주면 된다. 

      

8. 자동으로 최신 정보로 고치기 

탐색기에 어떤 디렉토리를 만들어 넣었다든지 혹은 내용을 변경하였을 경우, 변경된 내용이 곧바로 화면에 적용되지 않고 F5 새로 고침을 눌러야지만 적용된다. 즉 디스크의  라벨을 바꾸었다든지, 새로운 폴더를 등록하거나 이동시켰을 때 화면에 나타나는 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레지스트리를 변경하여 바로 적용되도록 하자.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Update으로 이동한다. 화면 오른쪽에 보이는 UpdateMode의 값을 01에서 00으로 바꿔준다.  

 

9. 창이 뜨는 속도 높이기 

윈도우즈의 속도를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은 사람에게는 창의 최대화, 최소화에 따른 애니메이션도 속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것이다. 여기서는 그 속도를 빨리 해주는 방법을 소개한다. 

HKEY_CURRENT_USER_⇒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으로 이동한다. 우측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등록-문자열 값’을 선택하고 ‘MinAnimate’라고 입력한다. 그 다음 이 값을 더블클릭하여 값을 '0'으로 설정한다. 이것으로 창이 열리거나 닫힐 때 최대화, 최소화 애니메이션표시가 되지 않아 창의 표시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진다. 

 

10. 폴더 아이콘 모양 바꾸기 

HKEY_CLASSES_ROOT를 선택하고 ‘FOLDER' 항목의 ’DefaultIcon'으로 이동한 뒤, 오른쪽 내용 창에서 기본 값을 선택한다. 그리고 ‘편집(E)’메뉴에서 ‘수정(M)'을 선택한다. 그러면 나타나는 ’문자열 편집‘ 대화상자에서 ’값‘의 데이터 상자에 원하는 모양의 아이콘 파일의 경로와 파일명을 기입해 주면 윈도우95의 폴더 아이콘이 변경된다. 

 

11. 휴지통의 이름 바꾸기 

데스크탑상의 대부분의 아이콘이나 단축아이콘 이름은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휴지통]은 언제나 (노턴이 설치되었다면 [노턴안전휴지통]) 휴지통이다. 단축메뉴에도 이름 바꾸기가 없고 F2를 눌러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 난 이름을 “분리수거 할 것”이라고 바꾸고 싶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편집-찾기 (또는 )를 누르고 “휴지통”이라고 입력한 후 다음 찾기를 누르면 오른쪽 창에 (기본값) ‘휴지통’ 이 (왼쪽은 신경 쓰지 말자) 보인다. (기본값)을 더블클릭하면 문자열 편집대화상자에서 값의 데이터를 바꾸어 주면 된다. 

HKEY_CLASSES_ROOT에서 CLSID로 이동해서 찾아도 되는데 아주 어려울 것이다. 자신 있으신 분은 {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를 찾으면 된다. 아주 어렵죠 

참고로 다른 것 몇가지도 함께 적어봅니다. 

{20D04FE0-3AEA-1069-A2D8-08002B30309D} : 내 컴퓨터 

{208D2C60-3AEA-1069-A2D7-08002B30309D} : 네트웍 설정 

{00020D75-0000-0000-C000-000000000046} : 받은 편지함 

{85BBD920-42A0-1069-A2E4-08002B30309D} : 서류가방 

{3DC7A020-0ACD-11CF-A9BB-00AA004AE837} : 인터넷 

{992CFFA0-F557-101A-88EC-00DD010CCC48} : 전화 접속 네트워킹 

{21EC2020-3AEA-1069-A2DD-08002B30309D} : 제어판 

{2227A280-3AEA-1069-A2DE-08002B30309D} : 프린터 

{00028B00-0000-0000-C000-000000000046} : The Microsoft Network. 

 

12. 시작메뉴에 제어판/휴지통을 추가해 보자. 

레지스트리 편집과는 상관없지만... 제어판은 자주 이용되는 항목이다. 그런데 꼭 설정으로 가서 제어판을 눌러야한다. 시작과 함께 제어판의 내용을 모두 보자. 

[시작]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탐색]을 누른다. [파일(F)]메뉴에서 새로 만들기 , 폴더 명령으로 새 폴더를 만든다.  

새 폴더의 이름을 “제어판.{21EC2020-3AEA-1069-2ADD-08002B30309D}"으로 만들어 주면 시작에 제어판메뉴가 생긴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휴지통도 여기에 놓고 싶다면,”휴지통.{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라고 추가해 주면 된다. 

 

13. 바탕화면에서 휴지통 없애기 

더 이상 바탕화면에 휴지통이 필요 없을 때가 있다. 이 역시 레지스트리를 이용해 간단히 제거 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Desktop을 따라 내려간다. 하위 목록 중에 NameSpace를 선택한 뒤 {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에서 오른쪽 버튼. 항목의 키 값을 삭제하면 재부팅 후 휴지통이 사라진다. 오른쪽 버튼의 삭제는 그대로 있다. 물론 Delete키를 이용해도 된다. 사용하지 않는 인터넷 아이콘도 삭제 할 수 있다. 

 

14. 바탕화면에서 네트워크환경 삭제하기. 

바탕화면의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은 두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진짜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많은 사람들은 원하지 않아도 이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두어야 한다. 둘째, 이 아이콘을 다른 폴더로 옮길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이를 쓰지 않는 사람들은 이 아이콘을 바탕화면에서 추방하고 싶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 아이콘은 바탕화면에서 제거해도 네트워크 연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UNC(Universal Naming Conventions)에서 지정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네트워크 환경’의 이름을 바꾸거나 바탕화면에서 없애면 네트워크 연결이 안 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찾는 것이 약간 불편할 뿐이다. 

네트워크 환경을 바탕화면에서 없애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다음을 찾는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 ‘편집’ 메뉴에서 ‘등록-DWORD'값을 선택한다. NoNetHood라고 입력하고 엔터키를 두 번 친다. 그리고 기본값에 1을 입력한다 이제 윈도를 다시 시작하면 바탕화면에서 ’네트워크 환경‘가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래대로 바꾸려면 NoNetHood값을 지우고 다시 윈도를 다시 시작하면 된다. 

이러한 작업을 더 쉽게 하려면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토이에 포함된 Tweak UI를 이용하면 된다. 제어판의 Tweak UI아이콘을 두 번 클릭하여 열고 Desktop화면에서 Network Neighborhood항목을 클릭하여 체크 표시(v)를 없애주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된다. 

 

15. 시작 때마다 자기만의 팁 보기 

윈도우를 처음 설치하였을 때, 실행할 때마다 윈도우 활용 팁이 표시되던 것을 기억 할 것이다.( 기억나지 안으면 어쩔 수 없죠.) 윈도우에서는 48가지 팁을 준비하여 두었다가 사용자가 윈도우를 시작 할 때마다 바꿔가면서 화면에 출력해 주는 재미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팁을 모두 보고 나면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된다. 이럴 때 자기만의 명언이나 월간계획, 좋아하는 문장을 넣어두면 보다 재미있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Tip을 선택한다. 오른쪽에 0에서 47까지 팁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 오른쪽 버튼을 눌러 각각의 팁을 수정해 주면 된다. 너무 많은 문장을 입력하면 레지스트리의 크기가 커지므로 필요한 만큼(?)만 입력하자. 

 

16. BMP 그림 파일을 아이콘처럼 보기 

탐색기에서 파일, 폴더 등의 개체를 보여줄 때 각 파일의 종류마다 고유의 아이콘 그림을 보여준다. 탐색기는 파일의 종류를 확장자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txt파일은 공책처럼 생긴 그림으로 표시하고, doc파일은 마이크로 소프트 워드의 W글자 모양의 그림으로 표시한다. 또한 bmp파일은 컬러풀한 그림으로 표시한다. 

이렇게 아이콘은 파일과 연계되어 있다. 이를 다른 아이콘으로 바꿔보자. 탐색기에 들어가 ‘보기’메뉴에서 ‘옵션’명령을 내린다. ‘옵션’ 대화상자에서 ‘파일 형식’탭을 누른다. 원하는 파일 종류를 선택한 다음 ‘편집’버튼을 누른다.  

‘파일 형식 편집’창에서 ‘아이콘 변경’버튼을 누른 다음 ‘아이콘 변경’창에서 원하는 아이콘을 고르면 된다. 

파일안에 있는 아이콘을 뽑아내 쓰려면 탐색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ico파일은 파일 안에 들어 있는 아이콘 그림이 탐색기 상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ani파일도 역시 그 파일에 들어있는 작은 커서 모양으로 표시되고, exe 파일도 내부 아이콘 그림으로 표시된다. 다음 다섯 단계를 통해 bmp파일도 원래 그림 모양의 썸네일 아이콘으로 바꿀 수 있다. 썸네일은 원래 엄지손톱이란 뜻이다. 그래픽에서는 아이콘처럼 작은 조각 그림을 썸네일 이라고 부른다. 

우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HKEY_CLASSES_ROOT⇒Paint.Picture⇒DefaultIcon라고 되어 있는 항목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화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default 오른쪽 창에 이 값이 %1로 되어 있을 것이다. %1의 의미는 탐색기가 파일안에 있는 그림을 아이콘으로 쓰라는 뜻이다.  

백업을 한다. 키를 백업하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의 ‘레지스트리’메뉴에서 ‘등록 파일로 저장’ 명령을 내리면 된다. ‘등록파일로 저장’ 대화상자가 나오면 ‘OldBMPPictures.txt'와 같은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버튼을 누른다. ‘기본값’이라고 써 있는 부분을 두 번 클릭하여 열고 ‘문자열 편집’ 대화상자에서 값을 데이터를 %1로 바꿔준다. 저장한 다음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빠져 나온다 : 이제 탐색기를 시작하면 모든 bmp파일 아이콘이 썸네일 형태로 바뀌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주의♣  

썸네일을 표시하려면 많은 디스크 읽기와 연산이 필요하므로 시스템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기능을 너무 남용해서는 안된다. 만일 bmp파일에 대해 썸네일이 아닌 일반 아이콘을 다시 쓰고 싶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레지스트리 메뉴에서 ‘등록 파일 읽어오기’ 명령을 내린 다음 저장했던 OldBMPPictures.txt 파일을 불러오면 된다. 

 

17. 사운드 이벤트의 추가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마다 특별한 소리를 내고 싶다면 사운드 이벤트 추가 방법에 대해 눈여겨보기 바란다. 아래아-한글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실행과 동시에 소리가 연주되는 것과 같은 기능을 다른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에서도 만들어 놓을 수 있다. 

우선, 레지스트리에서 HKEY_CURRENT_USER⇒AppEvents⇒Schemes⇒Apps라는 항목을 선택한다. 여기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록'을 선택한 후 새로운 키를 추가하도록 한다. 키의 이름은 사운드와 함께 실행하고자 하는 실행 파일명을 적어 주면 된다. 

다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등록'을 선택하여 'OPEN' 과 'CLOSE'라는 키를 실행 파일명의 하위 키로 만들어 넣는다. 다시 'OPEN' 과 'CLOSE'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Current 라는 키를 만들어 넣는다. 그런 다음 화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프로그램의 시작(Open의 경우)과 끝(Close의 경우)에 지정하고자 하는 사운드 파일의 경로와 이름을 값으로 지정하여 넣으면 된다. Open과 Close 이외에도 Minimize, Maximize 등의 작업에 모두 사운드를 만들어 넣을 수 있지만 대부분 시작과 끝나는 부분에만 사운드를 추가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18. 긴 파일이름을 보기 좋게 표시하기 

 안되는 컴퓨터가 더 많더라구요, 그래서 삭제했습니다. 

 

19. 모니터 절전 기능 시간 늘리기. 

에너지 스타 모니터를 가지고 있다면 제어판의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에 있는 화면보호기 페이지의 ‘모니터 절전 기능’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력을 떨어뜨리는 ‘전력 저하 대비’와 전원을 완전히 차단해 주는 ‘모니터 끄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능은 1~60분 사이에 시간에서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60분이 넘어가는 설정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레지스트리를 직접 조작하면 이러한 시간의 제약을 뛰어 넘을 수 있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 오른쪽 창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값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전력저하 : ScreenSaveLowPowerTimeout 

모니터 끄기 : ScreenSavePowerOffTimeout 

 

이제 이 두 값을 바꾸어 주면 모니터 절전 기능을 시간 제약없이 설정할 수 있다. 단위는 초로 되어 있으므로 3시간 뒤에 모니터를 끄려면 ScreenSavePowerOffTimeout값을 7200으로 설정하면 된다. ‘확인’버튼을 누르면 새 설정이 바로 적용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의 수치는 60이상으로 바뀌지 않지만 실제로 절전 효과는 레지스트리에서 바꾼 대로 작동한다. 

 

20. 디렉토리 리스트 출력하기 

탐색기에서 디렉토리 리스트를 출력하는 기능은 없다. 폴더를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클릭하고 단축메뉴에서 그 폴더 안의 파일이나 서브 폴더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많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기능이면서도 탐색기에 빠져 있다는 것이 아쉽기만 하다. 어떤 책에는 윈도95에서는 이러한 출력이 불가능하다고 써있고, 어떤 책은 복잡한 레지스트리 수정을 통해 간략한 리스트를 뽑아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분명히 훨씬 더 효과적이고 빠른 방법이 있다.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 

 

이 키를 레지스트리에서 직접 바꾸는 것이 아니라 탐색기의 파일 형식 탭에서 수정해 보기로 하자. 수정이 끝난 다음 이 노드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확인해 보기 바란다. 

메모장이나 도스 에디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PrintFileFolder.bat이라는 배치 파일을 만든다.   

dir %1 /-p/a/o > "%temp%\File List" 

notepad /p "%temp%\File List" 

 

메모장(notepad)명령 뒤의 /p 스위치는 출력을 마친 뒤 메모장을 자동으로 끝내라는 의미이다. 탐색기를 시작하고 ‘보기’메뉴에서 ‘옵션’을 선택하고 ‘파일 형식’탭을 클릭한다.  

‘파일 폴더’를 클릭하여 선택하고 ‘편집’버튼을 누르고 ‘등록’버튼을 누른다. 

‘새 명령’ 대화상자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명령:Print File Listing 

∙ 명령을 수행할 응용프로그램     c:\PrintFileFolder.bat 

‘확인’ 버튼을 누르고 빠져 나온다. 이제 탐색기에서 폴더 안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려면 폴더를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클릭하고 단축메뉴에서 Print File Listing명령을 내리면 된다. 

 

21. 새로 만들기를 빠르게 

윈도우는 새 파일을 빠르고 쉽게 만들 수 있다 .바탕화면, 폴더, 탐색기의 빈 공간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클릭하면 단축메뉴가 나온다. 여기서는 폴더와 단축아이콘을 만들 수 있고, 여러 파일 리스트에서 원하는 종류의 파일을 선택하면 바탕화면이나 폴더에 새 파일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프로그램을 이것저것 깔다 보면 단축메뉴에 나오는 파일의 종류가 점점 늘어나게 되고, 따라서 리스트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기 어렵게 된다. 이럴 때 레지스트리를 이해하고 있으면 불필요한 파일 리스트를 없애 버릴 수 있다.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고 ‘새로 만들기’명령을 내리면 윈도는 레지스트리의 HKEY_CLASSES_ROOT⇒.확장자 (예.TXT)⇒ShellNew키를 찾는다. 이 키의 ProID를 찾은 다음 HKEY_CLASSES_ROOT⇒ProgID의 ‘기본값’에 있는 설명 문자열을 찾는다. 예를 들어, HKEY_CLASSES_ROOT⇒.txt는 \ShellNew키를 가지고 있다. HKEY_CLASSES_ROOT⇒.txt의 ProgID는 txtfile로 설정되어 있다. 윈도는HKEY_CLASSES_ROOT⇒\txtfile의 기본값인 ‘텍스트 문서’를 읽어 들인다. ‘새로 만들기’ 단축메뉴를 보면 이 ‘텍스트 문서’항목을 찾아볼 수 있다. 다른 \ShellNew키도 같은 방법으로 작동된다. ‘새로 만들기’명령에서 원하지 않는 항목을 지우려면 이에 해당하는 HKEY_CLASSES_ROOT⇒.extension(확장자)⇒ShellNew키를 찾아 이를 다른 이름으로 바꾸면 된다. 지우려는 항목의 확장자를 잘 모를 때는 단축메뉴의 ‘새로 만들기’명령을 내려 확인해 보면 된다.  

예를 들어, 새로 만들기 메뉴에 나오는 텍스트 문서 항목을 수행하면 ‘새로 만들기 텍스트문서'라는 파일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 항목과 연결되어 있는 확장자가 TXT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항목을 없애려면 HKEY_CLASSES_ROOT⇒.txt⇒ShellNew키를 찾아HKEY_CLASSES_ROOT⇒.txt⇒ShellNewSave와 같은 다른 이름으로 바꾸면 된다. 이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고 ’새로 만들기‘명령을 내리면 텍스트 문서 항목이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2. 즉석 URL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http://www. google. com에 접속하고 싶을 경우 어드레스 박스에   www. google. com만 입력해도 나머지는 자동으로 인식된다. 이런 스마트한 기능이 어디에 숨어 있을까? 이 설정 값은 레지스트리에 담겨 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해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 SOFT⇒windows⇒currentversion⇒url키로 이동해보자.Prefixes 키에서 www. ftp 등등의 엔트리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www의 값은 http://www이다. 일치하는 것이 없으면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자동으로 DefaultPrefix키에 있는 prefix를 사용한다.(일반적으로 http://) 

이를 이용해 자주 들르는 사이트의 약어를 입력해 놓자. 예를 들어 http://www. google. com사이트를 자주 이용한다면 prefix에 m이라는 이름을 가진 키를 등록하자. 값은 익스플로러의 어드레스 박스에 m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google사이트가 뜰 것이다. 

 

23. 파일 시스템 성능 볼륨 업 [필수] 

제어판-시스템-성능 탭을 클릭한 다음 파일 시스템 버튼을 클릭한면 하드디스크 탭의 시스템 용도박스에 세 개의 설정값(데스크탑, 이동 또는 도킹 시스템 네트워크서버)이 있다. 이 기능은 패스와 파일 이름 캐싱을 처리하는 메인 메모리를 얼마나 설정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다. 기본 값인 데스크탑을 선택하면 32개의 Path와 677개의 파일명을 캐시한다.  

반면 네트워크 서버를 선택하면 64개의 Path와 파일명을 2,729개까지 캐시해준다. 그러므로 자신의 컴퓨터가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캐시 기능을 높게 하려면 네트워크 서버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윈도우 XP오리지널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윈도우 XP 레지스트리에서 버그를 수정하기 위한 한 단계를 더 거쳐야 한다. 네트워크 서버를 선택하면 윈래 64개의 Path와 2,729개의 파일명을 캐시해주는데 실제로는 그 값이 뒤바꾸어 있으므로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Path와 Name 캐시를 서로 바꿔줘야 한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FS Templates⇒Server NameCache는 a9 0a 00 00로, PathCache는 40 00 00 00으로 바꾼다. 

 

24. 프로그램의 설치 경로 

HKEY_CURRENT_USER⇒InstalLocationsMRU 키는 윈도우의 각종 드라이버가 있는 경로를 지정한 값을 가지고 있다. 윈도우의 경우  플로피 DISK는 A: , CD-ROM드라이브나 비디오나 프린터의 드라이버가 D: or E: 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25. 각종 하드웨어 정보 

사용중인 윈도우에 등록되는 하드웨어 정보는 다음 키에 등록되어 있다. 

HKEY_LOCAL_MACHINE\Enum\BIOS 바이오스 

HKEY_LOCAL_MACHINE\Enum\CTLSB16 사운드 카드 

HKEY_LOCAL_MACHINE\Enum\ESDI 하드웨어 정보 

HKEY_LOCAL_MACHINE\Enum\FLOP 플로피 디스크 

HKEY_LOCAL_MACHINE\Enum\ISAPNP ISA용 PnP 정보 

HKEY_LOCAL_MACHINE\Enum\MF 컨트롤러 정보 

HKEY_LOCAL_MACHINE\Enum\Monitor 모니터 정보 

HKEY_LOCAL_MACHINE\Enum\PCI PCI 정보 

HKEY_LOCAL_MACHINE\Enum\Root 윈도우에 등록된 각종 시스템 정보 

HKEY_LOCAL_MACHINE\Enum\SCSI 스카시 관련 정보 

 

 IRQ 진단 

구식에다가 결코 완벽하지도 않고, 윈도우CD 속에묻혀있지만‘마이크로소프트진단 프로그램‘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정보의 원천이다. 이 프로그램은DOS용이기 때문에 특히 윈도우를 전혀 실행시키지 못할 경우 IRQ 충돌을 진단하는데 편리하다. 

 

26. '시작'메뉴에 있는 '실행'을 없애기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우측창에서 우측버튼을 클릭하고 New →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Run이라고 변경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27. Windows 설치파일의 위치를 변경하기 

윈도우는 처음에 설치파일이 있던 곳을 기억하여 새로운 파일을 복사 할 경우 그 위치에서 찾는다. 윈도우를 하드에 복사한 후 설치하였거나(CD-ROM보다 빠르다.)씨디룸의 문자열이 변경된 경우도 다시 한번 찾아보기에서 원본의 위치를 찾아주어야 할 때가 있다. 이럴 경우 여기를 변경하여 작업을 한번으로 줄여보자.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Setup우측 창에서 SourcePath를 찾아 더블클릭 한다. 변경하고자 하는 위치로 바꾼다. 

 

28. CD-ROM의 자동 실행을 막는 방법 

윈도우용 프로그램이나 오디오CD를 넣으면 윈도우는 CD-ROM타이틀을 바로 실행한다. 이는 윈도우에 자동실행(AUTO PLAY)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물론 CD를 삽입 한 후 Shift키를 누른다거나, 시스템 등록 정보의 CD-ROM등록정보에서 삽입자동통지 항목을 제거해 주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해 보겠다. 꼭 해볼 필요는 없다는 얘기겠죠! 

HKEY_CURRENT_USER⇒Softwear⇒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를 선택한다. 오른쪽 창에서 NoDriveTypeAutoRun을 선택한 뒤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나타나는 단축 메뉴에서 '수정'을 선택한다. 잠시 후 나타나는 이진값 편집 창에서 '95 00 00 00'을 'BD 00 00 00'으로 수정한다. 

 

29. 원하는 모뎀 초기화 명령 이용하기 

모뎀의 성능에서 초기화 명령이 끼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그러나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초기화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다. 물론 이야기97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바람잡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초기화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을 이용할 때에는 이야기97에서 이용되던 초기화와는 달리 자체의 값으로 초기화를 하게 된다. 이렇게 이용되는 초기화는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Class⇒Modem⇒0000⇒Init Init에 오른쪽 버튼을 눌러 나타나는 메뉴에서 ‘등록→문자열 값’을 지정하면 ‘New Value #1'이라는 항목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부분을 ’3‘ 으로 고친다. 그리고 이 ’3‘을 마우스로 더블클릭하거나 를 누르면 이용되는 값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데 여기서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초기화 명령을 지정해 주면 된다. 주의할 점은, 모뎀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이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을 제외하고 입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입력을 마친 다음 맨 끝 부분에는 '' 이라고 반드시 입력해 주어야 한다. 

 

30. 뚱뚱해진 레지스트리 최적화하기 

레지스트리 정보는 윈도우폴더에 있는 System.dat 파일과 User.dat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윈도우를 실행할 때마다 이 파일의 크기가 조금씩 늘어난다는 점이다. 윈도우를 설치한 뒤 오랜 시간이 지나면 레지스트리 파일의 크기가 처음 설치했을 때 보다 엄청나게 커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크기가 늘어나는 것은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지우는 동안 저장된 내용이, 프로그램의 삭제나 언인스톨에도 불구하고 레지스트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가 완벽하게 삭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지스트리에서 쓸모없는 정보를 삭제해 주어야 한다.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 중에서 너츠 앤 볼츠(Nuts & Bolts) 라는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이 나타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레지스트리 위자드(Wizard)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레지스트리 파일에 대해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하단에 있는 튠-업(Tune-up)항목을 지정하면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파일의 불필요한 부분을 찾아 삭제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간단히 비대해진 레지스트리 파일이 최적화 된다. 단, 주의할 것은 이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인터넷의 IP어드레스와 이용자 ID, 비밀번호 등을 다른곳에 저장해두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 프로그램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인터넷에 대한 정보까지 삭제하기 때문이다. 

 

31. 내컴퓨터의 오른쪽 버튼을 바꾸자. 

윈도우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무수리 많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시작메뉴를 이용하는 것이며, 때론 시작메뉴의 실행을 이용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바탕화면의 내컴퓨터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것이 폴더 창일 수도 있고, 탐색 창일 수도 있다. 또는 도스에서 실행하기도 한다. 만일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내컴퓨터의 오른쪽 버튼을 통해 좀더 빨리 실행할 수도 있다.

 

32. 윈도우 시작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제거 

시작 프로그램에는 윈도우가 시작되면서 자동으로 실행될 프로그램이 등록된다. 이 프로그램들은 윈도우의 바탕화면이 나타나면서 동시에 실행되기 때문에 속도를 즐이는 역할은 물론 시스템이 이용하는 메모리를 차지하게 된다. 그런데 시작 프로그램에도 등록되어 있지않는 프로그램은 어디에 있을까?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다 보면 WIN.INI파일의 RUN부분이 아닌 레지스트리의 RUN= 부분에 등록되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을 찾아가면 화면 우측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목록이 나타난다. 여기서 자신에게 필요없는 프로그램을 삭제 해 주면 된다. 

 

33. MTU를 수정해 인터넷 속도 높이기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를 조정하면 약간이나마 인터넷의 접속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사실 체감속도는 입증안되는 것 같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Class\NetTrans\0002로 이동한다. 0002에서 오른쪽버튼-등록-문자열값을 선택하여 새로운 문자열 값으로 ‘MaxMTU'라고 입력한다. MaxMTU를 더블클릭하여 ’값의 데이터‘에 ’576‘을 입력함으로써 MSS(Maximum Segment Size)의 크기를 ’576‘으로 설정해 준다. 다시 Service 폴더아래 ’Vxd⇒MSTCP'폴더로 이동한다. 이 폴더에서 오른쪽 버튼-등록-문자열 값을 선택하여 새로운 문자열 값으로 ‘DefaultRcvWindow'를 입력한다. 이 문자열의 값으로 ’2144‘를 입력해준다. 시스템을 재부팅 하면 속도가 높아진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마치면서>

처음에도 언급했지만 레지스트리는 잘못 만지면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야 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레지스트리 백업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것저것 두서없이 지인들 통해 습득한 정보로 작성을 해서 볼품도 없고 보기도 까다롭지만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혹 5타가 있었다면 이해해 주세요. 컴퓨터 잘 활용하면 별별걸 다하는 마법상자가 되지만, 책상 위에 잘 모셔(?)놓아두면 고철덩어리에 불과합니다.



♡뱅크스토리 입니다.♡



010-7249-0202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지스트리  (0) 2014.05.09
그래픽 카드  (0) 2014.05.01